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8)
탄소중립 시대의 토목기술: 지속가능한 인프라 설계 방향 지속적인 기후 변화와 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전 세계는 2050 탄소중립(Carbon Neutral)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토목 분야도 예외는 아니며, 인프라 구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감축, 자원의 효율적 사용, 장기적 유지관리 전략이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탄소중립 시대의 토목기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실제 적용 중인 지속가능한 설계 전략을 정리해봅니다.1. 왜 토목기술에 탄소중립이 중요한가?토목 인프라(도로, 교량, 터널, 댐 등)는 건설·운영·유지관리 전 과정에서 막대한 에너지와 자원을 소비합니다.건설 산업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38%를 차지시멘트, 철강 등 토목 자재는 탄소 집약적 생산 공정이 많음유지관리 없이 방치될 경우 재건 비용과 환경 ..
토목 구조물의 안전점검 기준과 점검 주기 총정리 도로, 교량, 터널, 옹벽 등 각종 토목 구조물은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기반시설입니다.이러한 구조물은 정기적인 안전점검과 유지관리를 통해 구조적 안정성과 사용성을 확보해야 하며,이를 위해 정부는 점검 기준과 주기를 법으로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2024년 기준 최신 안전점검 제도를 중심으로,토목 구조물의 점검 대상, 종류, 주기, 점검 항목을 정리해드립니다.1. 구조물 안전점검이란?안전점검은 구조물에 결함이나 위험 요소가 있는지 사전에 진단하고 보수·보강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입니다.시설물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사고 예방과 구조물 수명 연장이 가능합니다.2. 점검 대상 구조물「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주요 토목 구조물이 점검 대상입니다.교량..
공정관리의 핵심, CPM과 PERT의 차이와 실제 활용 건설 및 토목 프로젝트에서 공정관리는 비용과 기간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복잡한 일정 속에서 무엇을 언제까지, 어떤 순서로 실행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전문적인 일정 관리 기법인 CPM(Critical Path Method)과 PERT(Project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가 사용됩니다.이 글에서는 두 기법의 차이점과 실제 활용 사례를 정리해, 실무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1. CPM (Critical Path Method): 결정적인 일정 경로 중심의 일정관리CPM은 전체 작업 중에서 프로젝트 전체 기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 경로(Critical Path)'를 중심으로 계획을 수립하는 방식입니다.특징:각 작업의 정확한 소요 시간(D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