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공법 (5) 썸네일형 리스트형 터널 공법의 비교: NATM, TBM, 쉴드 공법의 차이점은? 터널 시공은 대표적인 고난이도 토목공사로, 지반 조건, 굴착 구간, 안전성,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시공 공법을 선택해야 합니다.가장 널리 사용되는 터널 공법은 NATM(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TBM(Tunnel Boring Machine), 쉴드(Shield) 공법이 있으며,각 공법은 특성과 적용 조건이 뚜렷하게 다릅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세 가지 터널 공법의 정의, 특징, 장단점, 적용사례를 비교해 알아보겠습니다.1. NATM (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 지반 자체를 활용한 터널 공법NATM은 굴착한 지반의 **자기 지지력(Self-supporting capacity)**을 최대한 활용해 터널을 안정시키는 공법입니다.굴착 직후 .. 흙막이 공법의 종류와 적용사례: 토공사 기초를 지탱하는 기술 흙막이 공법이란? 흙막이 공법은 지하 구조물 시공 시 주변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고, 작업 공간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토공사 초기 단계에서 적용되는 핵심 기술입니다. 주로 지하 주차장, 지하철 공사, 터파기 공사 등에서 사용되며, 구조물의 안정성과 시공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흙막이 공법의 주요 종류 1. 흙막이 판넬(Pile & Lagging) 공법 강재 말뚝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그 사이에 목재나 강재 판넬을 끼워넣는 방식입니다. 적용 사례: 소규모 공사, 단기 프로젝트, 도심지 협소 부지 등 .. 현수교와 사장교의 구조적 차이와 사례 연구 현수교와 사장교는 대표적인 장대교량 형태로, 하중 분산 방식과 구조적 특징이 다르며, 각각의 장점과 한계에 따라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적용된다.현수교와 사장교란?현수교(Suspension Bridge)와 사장교(Cable-Stayed Bridge)는 주로 장대 교량(Long-Span Bridge)에 사용되는 구조 방식이다. 두 교량 모두 케이블을 활용하여 상판(Deck)을 지지하지만, 하중 전달 방식과 구조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다.현수교의 구조적 특징1. 현수교의 기본 개념현수교는 주 케이블(Main Cable)이 주탑(Pylon)과 앵커리지(Anchorage)에 의해 고정되고, 주 케이블에서 垂直으로 내려오는 행어 케이블(Hanger Cable)이 교량 상판을 지지하는 구조를 가진다.특징주 케이블이 하중.. 지반개량 공법의 종류와 현장 적용 사례 지반개량 공법은 연약 지반의 강도와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로, 다양한 방법이 현장 조건에 맞춰 적용된다.지반개량 공법이란?지반개량 공법(Ground Improvement Methods)은 연약 지반을 강화하여 건설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술이다. 연약한 지반은 시간이 지나면서 침하하거나 구조물의 균형을 무너뜨릴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개량이 필수적이다.지반개량 공법의 필요성1.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건축물, 교량, 도로 등은 튼튼한 지반 위에 지어져야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지반이 연약하면 침하가 발생하여 구조물에 균열이 생기거나 붕괴할 위험이 커진다.2. 지반 침하 및 액상화 방지지반 침하는 시간이 지나면서 점진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지진이 발생하면 액상화 현상이 일어나 .. 터널 굴착 공법의 종류와 특징 비교 분석 터널 굴착 공법에는 NATM, TBM, 개착식 등이 있으며, 지반 조건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공법을 선택해야 한다.터널 굴착 공법이란?터널 굴착 공법은 지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을 의미한다. 이는 지질 조건, 환경적 요소,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각 공법마다 장점과 단점이 존재한다. 본 칼럼에서는 대표적인 터널 굴착 공법의 종류와 특징을 비교 분석한다.터널 굴착 공법의 주요 유형1. NATM(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신오스트리아 터널 공법)NATM은 현장에서 지반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굴착과 보강을 병행하는 방식이다.특징지반 자체의 지지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굴착 후 즉시 보강함숏크리트(Sprayed Concrete), 록볼트(Ro.. 이전 1 다음